Ubuntu 20.04 Server 설치 - Software RAID 1 설정하기


Raid 설정 전 단계


언어 선택 후 엔터.

키보드 언어 선택 후 엔터

DHCP 서버 이용가능한 상태라면 알아서 ip가 잡히면서 ip가 뭔지 보인다. 예시에서는 그게 안되는 환경이라 설치 후 수동으로 네트워크 설정이 필요하다. Continue without network 선택 후 엔터.

proxy 서버 이용 안할거면 Done에서 엔터

Mirror 사이트 주소 확인 후 Done에서 엔터

우분투를 설치하기전에 Ubuntu Installer를 업데이트 시도한다. (ubuntu 버전을 업데이트하는게 아니다.)
필요없으면 Continue without updating 에서 엔터.



Storage configuration


아래 storage configuration 화면이 보이면, 이제 RAID 설정에 관한 내용 시작이다. 

Custom Storage layout 에서 스페이스 바로 선택 해주고, Done에서 엔터.

아래 예시에서 사용가능한 Device는 30GB 짜리 디스크 두 장이다. /dev/sda 와 /dev/sdb.



RAID 설정 대상 디스크들 부팅 디스크로 설정하기


첫번째 디스크, 아래 예시에서는 /dev/sda/에서 엔터. Use As Boot Device에서 엔터. 부팅 디스크로 만들어 준다.

USED DEVICES 에 /dev/sda/가 등록되었다.


두 디스크를 RAID 잡으려면 두 디스크 구성이 같아야 하기도 하고, 두개 디스크 모두 이용해서 부팅하게 될 예정이니, 두번째 디스크도 똑같이 부팅 디스크로 만들어준다.

sda, sdb 둘 다 똑같이 부팅디스크로 설정했다.


/boot Raid 설정

1) 각 디스크에서 /boot 를 위한 1g만큼 떼어내기

첫번째 디스크(/dev/sda)에서 엔터, Add GPT Partition에서 엔터.

size는 1g 입력하고 Format은 Leave unformatted로 선택한다. 
format되지 않은 상태의 partition을 대상으로 raid를 만들수 있다.
(*Format을 xfs 등 임의로 선택하고 Mount의 Leave unformatted를 선택하면 Raid를 만들 수 없다.)


Available devices 목록중 /dev/sda에 사용되고 있지 않은 1g만큼의 partition 2가 생겼다.
두번째 디스크도 똑같이 1g만큼 unsed 파티션을 만들어 준다. 
/dev/sdb에서 엔터, Add GPT Partition에서 엔터.

첫번째 디스크와 마찬가지로 1g 입력,
Format은 Leave unformatted
Create에서 엔터


2) 떼어낸 partion 두개를 software RAID 1 disk로 만들기

Available Devices 목록 중에 /dev/sdb 하위에도 똑같이 1g 만큼의 unused partition 2가 생겼다.
이제 sda와 sdb의 1g 짜리 partition 2들을 Raid로 묶어준다.
Create software RAID 에서 엔터

Name은 raid disk 생성 후 disk의 이름이다. 예시에서는 디폴트를 적용했다.
RAID Level이 1 (mirrored) 맞는지 확인
Devices에서 좀 전에 생성했던 sda와 sdb의 partition 2(1G) 두개 를 선택(스페이스바)하고
 Create에서 엔터.


Available devices 리스트에 방금 설정했던 md0 디스크가 생겼다. 이 raid disk에다가 /boot 를 마운트 하면 /boot Raid 설정은 완료이다.
md0에서 엔터.


3) 생성한 RAID disk에 /boot 마운트하기

ADD GPT Partition에서 엔터


md0 disk를 만들때 sda와 sdb에서 1G씩 떼내(?)왔다. 그래서 max는 약 1g(정확히 1g는 아님)이다.
Size란을 빈칸으로 두면 max가 적용된다.
size는 빈칸으로 둔다.
Format xfs를 선택한다. 
mount는 /boot를 선택하고 
Create에서 엔터

File system summary에 /boot 가 생겼다. device type을 보면 software RAID 1 새 파티션이라고 설명이 되어있다. 비슷한 과정을 반복해서 /var/log와 / 도 설정하면 된다.


/var/log Raid 설정

1) 각 디스크에서 /var/log 를 위한 5g만큼 떼어내기

/var/log 를 위한 용량을 sda에서 먼저 떼내온다.
/dev/sda에서 엔터



Add GPT Partition에서 엔터.

/var/log에는 5g 정도 mount할 예정이기때문에 size에 5g입력.
Format은 후에 raid disk로 만들 것이기 때문에 Leave unformatted로 선택.
Create에서 엔터


/dev/sda에 unused상태인 5G짜리 partition 3이 생겼다.
/dev/sdb에도 똑같은 partition을 생성해준다.
/dev/sdb에서 엔터
Add GPT Partition에서 엔터

sda와 동일하게 size는 5g 입력
Format은 Leave unformatted 선택
Create에서 엔터

sdb에도 unused 상태의 5G짜리 partition 3이 생겼다.
두개 partition 3를 이용해서 5G짜리 RAID disk를 만들어준다.

2) 떼어낸 partion 두개를 software RAID 1 disk로 만들기

Create software RAID 에서 엔터.

이름은 md1 디폴트 그대로 사용했다. 마음대로 바꿔도 된다.
/dev/sda 하위 partition3와 /dev/sdb 하위 partition3를 스페이스 바를 이용해서 선택하고
Create에서 엔터

이용가능한 devices 중에 방금 생성한 md1이 생겼다.
md1에 /var/log를 마운트하면 된다.


3) 생성한 RAID disk에 /var/log 마운트하기

md1에서 엔터
Add GPT Partition에서 엔터

size는 최대치인 4.991G를 적용하기 위해 빈칸으로 둔다.
Format은 xfs를 선택한다.
Mount에서 Other를 선택한다.

var/log를 입력한다.
Create에서 엔터

File system summary에 /var/log 4.991G가 추가되었다.


/ 설정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한다.

/dev/sda에서 엔터
Add GPT Partition에서 엔터

남은 약 24G 모두를 / 로 마운트 할 예정이다.
size를 빈칸으로 둔다.
Format은 Leave unformatted 선택
Create에서 엔터

/dev/sdb에서도 똑같이 한다.
/dev/sdb에서 엔터
Add GPT Partition에서 엔터

Size는 빈칸으로 둔다.
Format은 Leave unformatted를 선택한다.
Create에서 엔터

sda와 sdb 모두 23.997G 같은 용량의 partition 4를 가지고 있다. 이 둘을 Raid로 묶어준다.
Create software RAID에서 엔터

Name은 생성될 RAID disk의 이름이다. 예시에서는 디폴트 이름을 그대로 이용했다.
/dev/sda와 /dev/sdb 하위의 partition 4를 선택(스페이스 바)하고 
Create에서 엔터

이용가능한 devices 리스트에서 23.980G 짜리 md2 software RAID 1 디스크가 생겼다. 여기에 마지막 / 를 마운트 해주면 끝난다.

md2에서 엔터
Add GPT Partition에서 엔터


Size는 할당된 23.976G 모두 적용할 것이므로 빈칸으로 둔다.
Format은 xfs를 선택한다.
Mount는 / 를 선택한다.
Create에서 엔터

file system summay에 / 가 생겼다. 이로써 30G 짜리 두개 디스크를 RAID 1 으로 묶는데 성공했다.

아래로 내려보면 사용된 device들이 나온다. md0은 1G 짜리 /boot를 위한 disk 였고, md1은 5G짜리 /var/log, md2는 전체 30G 중 나머지 23.980G의 / 이다.
/dev/sda와 /dev/sdb 하위를 살펴보면, booting disk 설정 내용까지 포함해서 각각 4개 파티션을 확인할 수 있고, 얼만큼의 용량이 어느 raid disk에 할당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done에서 엔터.


포멧할거니 기존 데이터 지워질거라는 경고 내용이다.
Continue에서 엔터.


RAID 설정은 끝났다. 그 이후 설치 과정

사용자 계정, 호스트 이름, 비밀번호 설정해주고 done에서 엔터

ubuntu 설치가 끝나고 SSH를 이용해서 다른 컴퓨로를 통해 서버로 접근하고자 한다면 접속대상인 호스트에 OpenSSH server 설치가 필요하다. 
인터넷이 연결되있지 않더라도 여기서 선택하면 설치가 가능하다.
필요하다면 선택해주고
done에서 엔터

드디어 설치 시작했다.
대기한다.

Reboot Now 버튼이 생기면 여기서 엔터.
재부팅이 완료되면 설치도 완료이다.


댓글 쓰기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