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escu, dcmsend 등을 쓸때 aetitle 옵션을 추가할 수 있는데 어느게 어느 aetitle인지 헷갈릴 때가 있다.
dcmtk support 페이지(https://support.dcmtk.org/docs/movescu.html) 에는 아래 처럼 나와있다.
application entity titles:
-aet --aetitle [a]etitle: string
set my calling AE title (default: MOVESCU)
-aec --call [a]etitle: string
set called AE title of peer (default: ANY-SCP)
-aem --move [a]etitle: string
set move destination AE title (default: MOVESCU)
서버 A, B, C 가 있고 아래와 같은 조건이 있다.
A는 movescu를 명령을 사용하는 서버이다.
B는 movescu를 명령을 받은 대상이다.
A는 B에게 dicom을 C로 전송하라고 명령한다.
그러면 B는 dicom을 전송할 서버가 되고, C는 dicom을 전달받는 서버이다.
aet는 A이다. movescu 명령을 사용하는 서버. calling의 의미를 '명령어를 통해 무언가를 부른다'로 이해했다.
aec는 B이다. movescu 명령을 받은 대상이다. called의 의미를 '명령을 받는 곳'으로 이해했다.
aem는 C이다. movescu 명령을 통해 dicom을 전달받은 대상이다. move destination의 의미를 'movescu를 통해 dicom을 전달 받을 곳'으로 이해했다.
dcmsend, findscu 등등을 사용할때 aet, aec의 의미는 똑같이 이해해도 된다.
명령어를 사용할때 ae title을 지정하는 것은 aet (calling AE title), 명령을 받는 서버 쪽이 aec (called AE title)
0 댓글